이산저산산이좋아/전국명산돌아

북설악 신선봉에 올라/14년10월2일-3일

가잔티 2014. 10. 5. 18:50

 

 

 

 초록을 뽐내던 나뭇잎들이 하나 둘 붉은 빛깔로 물들기 시작해

 온산을 울긋불긋한 단풍으로 뒤덮인 장관을 볼수 있어

가을산행이 그리워지는 이유다.  

 

연휴 시작인 목요일 저녁 12시에 7명이 승합차에 타고

서울을 빠져나가  미시령을 지나 할매순두부집에 도착하니 새벽 3시가 조금 넘었다.

순두부(1인분에 0,8만원)로 아침을 해결하고

타고간 차는 화암사에 주차시키고  칠흑 같은 어둠을 랜턴으로 밝히면서

일곱 전사..?가 산을 오른다.

 

  

북설악에 위치한 신선대와 상봉은 설악의 끝자락을 마다하고,

 오히려 금강산의 첫 관문으로 불려 지기를 원하는 모양이다.

 

그래서인지 화암사 일주문에도 "금강산 화암사"로 표기 되어 있다.

 

 화암사에서 바라본 하늘은 형언할수 없는

수많은 별들이 쏟아지고 있었다.

하늘에 별들이 이렇게 많았는지를, 본적이..? 없었다.

산으로 오르는 길의 바람은 쌀쌀하게 불고 있다.     

        

 

 

 

 

바위를 경유하여 성인대에 오르니 강풍이 얼굴을 후비친다.

몸이 날려 낭떠러지로 떨어지면 끝인데..! 생각하니 움직일수가 없다..

"일출을 보려고 부산 떨었는데.."

이렇게 센 바람이 불어대니 하고 후회도 든다.

 

 

  

 

  여명의 기미는 안보이고 춥기는 하고,

바위 밑에 모여 웅크리고 앉아 추위를 견뎌본다.  

 

 

 

 

 

 

바람이 들어와 풍선을 만들어준 이런 모습은

아마도 이게 처음이자 마지막일듯도 하다.

 

 

 

 

 

 

그렇게 기다리던 여명의 시작이다.


 

 

           

  

   

여명이 트는 순간도 강풍은 불어 제끼고..!

6시 13분쯤 되니 여낙없이 해는 솟아 오른다.

 

이쯤되면 소망을 담기도 하고 환호성도 있어야 하는데

춥기도 하고 도무지 분위기가 잡히질 않는다.

  

 

 

 

 

 

 

 

 

 

 

 

 

 

 

 

 

 

 

 

 

 

해가 솟던 맞은편으론 운해가 펼쳐졌고..!

 

 

 

 

 

 

 

 

 

 

 

 

 

 

 

 

 

 

 

 

 

 

 

 

성인대 바위에 옹달샘아닌 옹달샘이 만들어져 있다.

빗물이 퍽이나 고여있다.

 

 

 

 

 

 

 

 
 
 

미시령 옛길이 멀리 이어져 있어

옛정취를 잠시나마 느껴본다.

 

 

 

 

 

 

 

 

 

 

 

 

 

 

 

 

 

 

 
오후엔 비 예보까지 있어 중도 하차할까,,?
망설이는데..아니나 다를까..
강행하자니 할수 없이 따라 나선다.
 
 
 

 

 

 

 

 
 

 

 


 

 
 

 

 

 

 

 
 

 

 

 

 

 

 


 

 

 

 

 

 

 

 

 

 

 

 

 

 

 

 

 

 

 

 

 

 

 

 

 

 

 

 

 

 

 

 

 

 

 

 

 

 

 

 

 

 

 

 

 

 

 

 

 

 

 

 

 

 

 

 

 

 

 

 

 

 

 

 

 

 

 

 

 

 

 

 

 

 

 

 

 

 

 


 

 

 

 

 

 

 

 

 

 

 

 

 

 

 

 

 

 

 

 

 

 

 

 

 

 

 

 

 

 

 

 

 

 

 

 

 

 

 

 

 

 

 

 

 

 

 

 

 

 

 

 

 

 

 

 

 

 

 

 

 

 

 

 

 

 

 

 

 

 

 

 

 

 

 

 

 

 

 

 

 

 

쉬엄쉬엄 오르던 길 어느 곳에 다다랐을까..?

길섶 곳곳엔 야생화가 예쁘게 피어있었다.

숨은 차오르고, 땀은 흐른다.

 

 

 

 

 

 

 

 

 

 

 

 

 

 

 

 

 

 

 

  신선봉을 향하여..

호랑이와 난 체력안배를 위해 머뭇거리다 하산길로.. 

 

 

 

 

 

 

 

 

 

 

 

 

 

 

  

 

하루라는 시간이 더 주어진다면 

이곳 어딘가 그늘 밑에 매트를 펴고

 울산바위를 바라보며 좀 더 머물다 가고픈 마음이 들기도..

 

 

 

 

 

 

 

 

 

 

 

 

 

 

 

 

 

 

 

 

 

 

 

 

 

 

 

 

 

 

화암사 수바위는..

 

절이 민가와 멀리 떨어져 있는 이곳에 계신 스님들은 시주를 구하기에

어려움이 많았는데, 어느날 두 스님의 꿈에 백발노인이 나타나 수바위에

조그만 구멍이 있으니 그곳을 찾아 끼니때마다 지팡이로 세번을 흔들라고 말하였다.

잠에서 깬 스님들은 수바위로 달려가 꿈을 생각하며

노인이 시킨대로 했더니 두 사람분의 쌀이 쏟아져 나왔다.

 

그후 두 스님은 식량걱정없이 편안히 불도에만 열중하며 지낼수 있게 되었는데..

몇년후 객승 한 사람이 찾아와 화암사 스님들은 시주를 받지 않아도

"수바위"에서 나오는 쌀로 걱정없이 지낸다는 사실을 알고

"세번  흔들어서 두사람분의 쌀이 나온다면 여섯번을 흔들면

 네사람분의 쌀이 나올것"이라는

 엉뚱한 생각을 하고 지팡이를 넣고 여섯번을 흔들었다.

 

그러나 쌀이 나와야 할 구멍에서는 피가 나오는것이었다.

객승의 욕심에 산신의 노여움을 샀으니

그후부터 수바위에서는 쌀이 나오지 않았다는 전설이 있다는..

 
 

   

 

 

 

 

 

 

 

 

 

 

 

 

 

 

 

 

   

  

 

황태정식으로 저녁을 해결하고..

 

 

 

 12km의 산행은 너덜길로 이너지는 비탐방로가 너무 많았고..

 간밤에 내린 비로 바윗길위에 덮여있는 낙옆은 조금만 헛디뎌도 미끄러워

 일곱명중에 다섯명은 상처를 입었고

내 무릎도 바위에 긁혀  핏방울이 맺혔으니

이런것도 좋은 추억으로..

또 다른 여행을 상상하며..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