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2년도에 방문한적이 있는 스페인 몬세랏 수도원에 대해
다른 각도에서 조명한 내용을 그곳을 회상하며 소개한다.-
- 몬세랏, 만레사 -
전쟁영웅 꿈꾸던 청년 이냐시오, 만레사 동굴에서 1년동안 수행..
"예수회" 창립해 가톨릭 새바람
프란치스코 교황도 예수회 소속
스페인 동부 작은 도시 만레사의 한 바위산 동굴
그 위에 지은 성당 밖을 나서자 맞은편으로
평지 돌출로 우뚝 솟은 몬세라토 산이 보인다.

이곳은 가톨릭 수도회인 예수회를 창립한
로욜라의 이냐시오(1491~1556)영성(靈性)이 탄생한 곳이다.
1522년 3월 25일 이 동굴에 거적을 걸친 걸인 행색의
청년 이냐시오가 다리를 절며 들어섰다.

몬세라토 산속의 수도원과 예수회를 설립한 이냐시오 성인은
이 수도원을 찾아와 성모상 앞에 기사의 옷과
칼을 바치고 수도자로 거듭나게 된다.
<2012년도방문:http://blog.daum.net/rhchoi/7608020>

500년전 이냐시오는 이곳에서 1년 가까이 손발톱과
머리카락을 깍지 않고 단식하며 기도 했다.
동굴 성당 앞 진열장에 전시된 탁발통은
이냐시오가 500년 전 사용했던 것이라고 한다.
그는 이 탁발통을 들고 마을에 내려가 구걸하다가 동굴로 돌아올 때마다
몬세라토 산을 바라보며 회심의 순간을 잊지 않고 되새겼을 것이다.
이냐시오는 왜 골짜기, 봉우리마다 은수자(隱修者)들이 수도하고
베네딕도 수도원이 있는 몬세라토 산을 떠나 이 동굴로 왔을까..?
동굴에서 바라본 풍경은 그 대답을 해주고 있었다.
동굴 오른편으로는 약 500m 거리에 대성당,
그 아래로는 마을이 보인다. 동굴에서 속세는 멀지도 가깝지도 않았다.
이냐시오는 세상을 등지고 혼자 수행하거나
수도원울타리 안에 갇히는 영성을 바라지 않았다.
훗날"영성수련"(1548)이란 제목의 책으로 정리된 이냐시오의 영성은
"모든 것 안에서 하느님 발견하기","활동중에 관상(觀想)하기"
그리고 가난과 겸손등이 대표적 특징·
그것은 속세로 뛰어드는 현실적·적응적 영성이었다.
르네상스와 과학발달에 대한 대응도 능동적이었다.
이를 위해 예수회는 그때까지 수도회의 격식도 걷어버렸다.
수도회를 특징짓는 복장과 수도자들이 함께 모여 기도하는 시간도 없앴다.
격식차릴 시간에 한걸음 더 뛰자는것,
그래서 예수회원들은"우리는 항상 한 발을 들고 산다"고 한다.
일반적인 수도회의 "청반 정결 순명"이라는 3대 서원(誓願)에 대해
"교황에 대한 순명"을 서원하는 예수회는 언제든 교황의 명이
떨어지면 달려나갈 준비가 돼 있다는것,
중세 가톨릭 수도회와는 전혀 다른 새로운 문화로 무장해
가톨릭 청년들의 가슴을 뛰게 한 이냐시오 영성은 16세기 종교개혁의
소용돌이에 빠져있던 가톨릭 입장에서 프로테스탄트 파도를 막는 방파제였고,
라틴 아메리카와 아시아 선교엔 개척자였다.
스페인 북부 로욜라의 이냐시오 생가(生家)옆에 세워진
예수회 수도원 식당 입구벽엔 중국 관복을 입은 마테오 리치를 비롯해
터번을 두르는 등 각 지역 복색을 한 초기 선교사들의 초상화가 걸려있다.
모두"현지의 풍습과 전통을 존중하라"는 예수회의 선교방식을 보여주는 증거들이다.
스페인의 한 작은 동굴에서 작은 샘물처럼 시작된 이냐시오의 영성은
500년동안 전 세계로 흘러 지난 2013년 마침내 첫 예수회출신 프란치스코 교황을
탄생시키기에 이르렀다.
그리고 프란시스코 교황은 예수회의 전통답게 세상의 눈높이에 맞춰
바티칸을 개혁하며 정체상태였던 가톨릭교회에 쇄신의 새바람을 불어넣고 있다.
[출처] 조선닷컴
'사색이있는오솔길 > 성서평화나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페인 가톨릭 성지를 가다> 산티아고 순례길… (0) | 2015.06.19 |
---|---|
<스페인 가톨릭 성지를 가다> 죽어서도 못 나오는 봉쇄수도원 室內엔 첼로가 놓여 있었다...아빌라.. (0) | 2015.06.19 |
55살 늦깎이로 사제품 받은 이인주 신부(국제선교회) (0) | 2015.02.26 |
예수 성탄 대축일 전야 미사/기쁘다 구주 오셨네..! (0) | 2014.12.25 |
천주교 반포성당../14년12월20일 (0) | 2014.12.20 |